“몸 약하면 정신도 약해져”…허약할수록 우울증 높다

길동이이 0 48 05.30 16:20
임상 환경에서 신체 허약은 다섯 가지 지표로 측정된다. 체중감소, 탈진, 쇠약감, 신체적 활동량 부족, 느린 보행 속도다. 신체 허약은 골절, 입원, 낮은 삶의 질, 조기 사망 같은 더 큰 건강 문제에 직면하게 만든다. 종전 연구에서도 신체 허약과 정신건강 저하 사이의 연관성은 확인됐다. 도메인주소연구진은 그 상관관계를 좀 더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50만 명 이상의 건강데이터를 추적하는 영국 바이오 뱅크에 등록된 37세~73세 약 35만 명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했다. 참가자들은 2006년~2010년에 첫 건강 평가를 받았고 약 12년 후에 두 번째 평가를 받았다. 연구진은 참가자들을 초기 평가에 기초하여 세 가지 범주로 그룹화했다. 허약하지 않음(5가지 허약 지표 중 하나도 보고되지 않은 경우), 허약 전 단계(1~2가지 지표가 보고된 경우), 허약(3가지 이상의 지표가 보고된 경우)다. 그런 다음 12년간의 추적 관찰을 통해 참가자들 중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나중에 우울증 진단을 받았는지 평가했다. 그 결과, 허약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‘허약 전 단계’와 ‘허약’으로 분류된 사람은 첫 평가 후 우울증 진단을 받을 확률이 각각 1.6배, 3.2배 더 높다는 사실이 드러났다. here연구진은 허약함의 기준을 더 많이 충족하는 사람일수록 우울증을 보고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고 지적했다. 논문의 주저자인 예일대 의대의 롱타오 장 박사후연구원(방사선 및 생물의학 영상학과)은 “여성이나 고령자보다 남성과 중년층(65세 미만)에서 이러한 연관성이 더 강하다는 것을 발견했다”고 말했다. 동일한 연구의 일환으로 연구자들은 허약함과 우울증 사이의 연관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해 염증 분자와 뇌 구조의 기여를 밝혀냈다. 구체적으로 연구진은 허약과 우울증 사이의 관계가 제3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매개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는 통계적 접근 방식인 ‘매개 분석’을 수행했다. 연구진은 호중구와 백혈구, 간에서 만들어지는 C-반응성 단백질을 포함한 특정 염증 생체지표가 허약과 우울증 사이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. 5개 뇌 영역의 부피 감소도 이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 장 연구원은 “이는 아마도 염증 지표 또는 뇌 용적의 조절을 통해 허약과 우울증 사이의 연관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”라고 말했다. click here예를 들어 허약함이 뇌에 염증을 일으키고 뇌 구조에 변화를 일으켜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. 이러한 진행 과정을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, 이번 연구 결과는 허약함과 우울증이 연관되어 있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.

Author

Lv.1 길동이이  실버
0 (0%)

1111

Comments